|
:: Home > ISO 해외인증 >
ISO 45001 |
■
ISO 45001 -> 보건안전경영시스템인증
|

|
ISO 45001 인증획득 효과 및 필요성
• 작업장 내의 위험성을 관리 및 예방 활동을 통한 재해 사고율 감소
• 중대 사고 위험성 감소 ,
작업장에 대한 신뢰감 향상 • 사고나 생산 중단으로 야기되는 물적 손실 감소 ,
품질 , 환경 및 보건 안전에 대한 통합된
경영 시스템 구축 • 적용되는 법규의 파악 및 준수 사업장 보험요율의 감축효과 기대
|










|
ISO 45001 인증이란 ?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(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) 관련 의무 이행에 대한 기본 틀을
제공한 다. 작업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재해 및 사고의 위험성을 시스템적 활동을 통해 관리 예방하게 하고 지속
적인 개선을 통해 인적 재해 및 재산
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위해 지켜야 할 최소한의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. |

|
ISO 45001 인증은 영국, 남아프리카, 호주, 아일랜드등 각국의 표준화기관의 인증서 발급을 위한 규격을 공동으로
안전보건 경영시스템-시방서 규격을 발행함.
1.
소개 (Introduction) 2. 일반 (General) 3. 안전보건방침 (OH & S policy) 4.
위험성 평가
(Risk Assessment) 5. 법규 및 기타 요건 (Legal and other requirements) 6.
관리장치 (OH &
S management arrangements) 7. 이행 및 운영 (Implementation and operation) 8.
정보전달
(Communication) 9. 문서화 (OH & S documentation) 10. 문서관리 (Document
control) 11. 운영관리 (Operational control) 12. 비상사태 대응 및 준비 (Emergency preparedness
and response) 13. 감시 및 측정 (Monitoring and measurement) 14. 시정조치 (Corrective
action) 15. 기록 (Records) 16. 감사 (Audit) 17 .경영검토 (Management review)
|
인증 구축 효과
ㅁ 작업장 내의 위험성을 관리ㆍ예방하여 재해 사고율 감소 ㅁ 신뢰성 있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으로 보험료 절감 ㅁ 근로자의 보건안전
위험성의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ㅁ ISO 9000, ISO 14000과 함께 통합시스템 구축이 용이함 ㅁ 규격에서 요구하는 기준에 적합하게 함으로써 안전부분의 무역장벽을 제거하여 해외 시장 진출 용이 ㅁ 상호인정협정이
가능한 공인된 안전경영시스템 구축으로 수출비용절감 ㅁ 사업주 및 근로자의 안전보건 관리의식이 선진국 수준으로 발전하여 기업의 자율 안전보건
관리 체제가 조속히 정착 ㅁ 생산제품 및 작업환경에 대해 국제 인증을 받음으로써 안전보건에 대한 근로자의 편향된 불만을
하여 해소 노사관계 안정에 기여
|
인증획득 절차



|
인증의 필요성

|
ISO 45001 모델

|

-
안전보건에 대한 자율적 관리로 국내외 법규에 능동적인 대처 - 작업장 내의 위험성을 관리하고 예방함으로서 재해 사고율을 감소 -
중대사고 위험성을 단기간 내에 현저히 감소 - 작업장 내의 신뢰감이 향상된 분위기 조성 - 사고나 생산 중단으로 야기되는 물적
손실을 감소 - 품질, 환경 및 안전보건 경영시스템의 통합시스템 구축 용이 - 적용되는 법규의 파악과 이에 대한 준수가 용이
- 안전보건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부응 - 전반적 업무 성과 개선
|
인증진행 절차

|
∇
아래 심사일 수 인증기관별로 상이하오니 참고용으로만
사용 바랍니다.

|
|